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 대상 기간 확인하세요

on

중소기업에 취업한 청년이라면…!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 제도에 대해 알고 계신가요?

중소기업에 취업한 청년이라면 꼭 소득세 감면 제도 혜택을 꼭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최대 90%까지 소득세를 감면 받을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 아래에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함께 읽으면 도움이 관련 정보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 제도

소득세

중소기업에 취합 청년이 일정요건을 충족하는 경우입니다.

취업일로부터 3년이 되는 날이 속하는 달의 말일까지 발생한 소득에 대해 소득세의 70%~90%를 감면합니다.

감면대상자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크게 청년, 고령자, 장애인, 경력단절여성으로 구분합니다.

소득세 감면 근로자 및 기간

청년

  • 근로계약 체결일 현재 15새~34세 이하인 자
  • 감면기간 5년
  • 군복무기간 최대 6년은 빼고 계산함

고령자

  • 근로계약 체결일 현재 60세 이상
  • 감면기간 3년

장애인

  • 장애인 복지법의 적용을 받는 장애인
  • 5.18 민주운동화 부상자
  • 국가유공자 등
  • 감면기간 3년

경력단절여성

  • 해당 중소기업 근로
  • 해당기업과 동일한 업종의 기업에서 1년 이상 근무
  • 결혼, 임신, 출산, 육아, 자녀교육 등의 사유로 퇴직
  • 퇴직한 날로부터 2년~15년 이내 동종 업종에 재취직
  • 해당 중소기업의 특수관계인이 아닐 것

근로자에 따른 소득세 감면율

청년, 60세 이상 장애인, 경력단절여성으로 구분합니다. 취업일에 따라 달라지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청년

  • 2012년~2013년 100% (한도없음)
  • 2014년~2015년 50% (한도없음)
  • 2016년~2017년 70% (150만원 한도)
  • 2018년~2023년 90% (150만원 한도)

감면율이 100%라 해도 2018년 이후부터는 90%, 150만원 한도내에서 감면됩니다.

60세 이상 및 장애인

  • 2014년~2015년 50% (한도없음)
  • 2016년~2023년 70% (150만원 한도)

경력단절여성

  • 2017년~2023년 70% (150만원 한도)

소득세 감면 제외대상 근로자

일용근로자, 임원, 최대주주, 국민연금부담금 및 기여금, 건강보험료 납부사실이 없는 사람은 제외대상입니다.

소득세 감면 신청방법

소득세 감면 대상이라면 근로자 본인이 감면신청서를 작성한 뒤 회사에 제출합니다.

그리고 아래와 같은 서류를 첨부해줍니다.

근로자 준비서류

  • 주민등록등본
  •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
  • 병역증명서
  •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 신청서

회사에서는 근로자가 감면 대상자인지를 확인 후 세무서에 서류를 제출합니다.

매달 10일까지는 제출해야합니다.

도움이 되는 정보

 

도로 주정차선 종류와 단속시간 알려드립니다!

도로 주정차! 알고만 있어도 과태료 안냅니다! 도로 주정차선! 꼭 지켜야 합니다. 그런데 아무데서나 주정차를 하게 되면 과태료 폭탄을 맞을...

올리브영 재고확인 방법 10초만에 가능 해요

올리브영 재고확인 방법   올리브영 재고확인 방법 어떻게 해야 할까요? 많은 사람들이 올리브영 물건을 많이 구매 합니다. 자주 가는 매장이나...

최근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