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유시 시동은 반드시 꺼야 합니다!
자동차 주유시 시동 꼭 꺼야 하는 이유 알려드립니다.
기름값이 비싸지면서 많은 운전자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조금이라도 기름값이 저렴한 셀프주유소에서 주유하는 분들이 늘고 있는데요.
셀프주유소는 스스로 주유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지만, 비교적 저렴한 가격 덕분에 점차 찾는 사람이 늘어가고 있는 추세입니다. 가격이 10원이라도 저렴한 주유소는 줄을 서서 주유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런데 셀프 주유를 위해선 미리 알고 있어야 할 것들이 있는데요. 오늘은 셀프 주유 시 시동을 반드시꺼야 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함께 읽으면 도움이 관련 정보 |
주유시 시동 꼭 꺼야 하는 이유
자동차 주유는 누구나 할 수 있지만 초보라면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유는 잘못하면 내 차 고장은 물론 여러가지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아래 주의사항을 꼭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1. 화재/폭발 사고 방지
휘발성이 강한 가솔린 연료는 주유하는 순간부터 주유구 틈새를 통해 유증기가 발생합니다.
이때 아주 작은 불똥이라도 순식간에 큰 폭발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주유기 주변에서는 아래와 같이 [화기엄금]이라는 문구를 붙여 놓고 폭발 가능성을 차단하고 있습니다.
엔진에서 발생하는 스파크도 마찬가지로 화재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주유 중 엔진을 정지해야 합니다.
2. 위험물안전관리법
주유할때 시동을 꺼야되는 법 조항이 있습니다.
원래는 이 조항이 소방법에 있었지만 지금은 위험물안전관리법으로 이름이 바뀌어서 그 법안에 실제로 시동시 원동기나 자동차 같은경우 주유시 시동을 꺼야된다는 조항이 있습니다.
실제로 주유할때 시동켜고 주유를 하게되면 그 유증기와 정전기가 만나면 스파크가 튀어서 크게 화재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 법이 만들어 졌습니다.
3. 혼유사고 대비
셀프주유를 할 때는 가장 많이 발생하는 사고로 실수로, 혹은 몰라서 차량의 연료 종류와 다른 연료를 주입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만일 시동이 꺼진 상태라면 혼유 사고 시 발생하는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엔진 가동 중 혼유가 발생하면 주입된 연료가 엔진까지 들어가기 때문에 연료통뿐만 아니라 각종 엔진 부품, 펌프 등 수많은 내부 부품들을 교체해야만 합니다. 당연히 수리비도 크게 증가합니다.
반면 엔진이 정지되어 있는 상황이라면 연료통을 교체하거나 연료탱크를 깨끗하게 세척하는 정도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4. 공회전 방지/연료절약
주유 하는동안 엔진을 정지함으로 인해 불필요한 연료 낭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주유하는 동안 시동을 켜 놓으면 그 시간 동안 공회전으로 인해 연료가 소모될 수 있고 나아가 환경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서울시에서는 2분이상 공회전을 하게 되면 과태료를 물게 됩니다.
5. 엔진경고등
기름과 공기가 만나 만들어진 유증기는 환경오염물질로 차량을 운행하면서 배출되는 유증기를 차량 안에 가두는 시스템을 증발가스 제어시스템이라고 합니다.
만약에 시동을 켠 상태에서 주유구를 열고 주유를 하게 되면 이 증발가스제어시스템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을 하고 계기판에 엔진경고등이 뜰 수 있습니다.
차량 운행중에 이런 경고등이 들어오면 운전하는동안 불안함에 안전 운전에 방해 될 수 있으므로 주유할 때 꼭 주의하셔서 주유를 하셔야 합니다.
5. 시동켜고 주유시 과태료
휘발유차는 소방법 위험물 안전 관리법에 따라 1회 적발 50만원, 2회 적발 100만원, 3회 적발 200만원 부과과태료를 부과합니다.
이 과태료에 대한 부과 대상은 운전자가 아니며 바로 과태료를 부과 대상은 주유소 부담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주유소에 서는 주유시 시동 꺼주세요 라는 안내멘트를 하고 있습니다.
시동을 끄고 주유를 하게 되면 연료 절약 효과도 있으니 시동을 끄는 습관 길들이는게 좋습니다.
주유전 내 차의 유종과 주유구 확인
운전한 경력이 오래 되었다면 상관없지만 초보인 경우 내 차의 유종과 주유구 방향을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유구 방향확인
대시보드 속 주유 경고등 옆으로 화살표가 나 있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를 통해 차량의 주유구 방향을 알 수 있습니다. 차량에 따라 화살표가 없는 경우도 있지만, 화살표가 있다면 그 방향이 주유구입니다.
내 차의 유종확인
내 차의 유종확인은 RPM계기판을 확인하면 됩니다.
휘발유(가솔린)의 경우 RPM 게이지가 7천~8천 RPM, 경유(디젤)의 경우 RPM 게이지가 5천~6천RPM으로 되어 있습니다.
혼유 사고는 굉장히 위험하기 때문에 기억이 안 난다고 당황하지 말고, 차분히 RPM이나 주유구 근처를 확인해보면 안전하게 셀프 주유할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는 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