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기한 소비기한 차이점 알려드립니다.

on

유통기한 소비기한 차이가 무엇일까요?

유통기한 소비기한 차이 알아보고 생활비 줄이세요!

유통기한이 이틀 지난 뜯지도 않은 우유는 그대로 버려야 할까요? 식품의 유통기한으로 먹어야 할지 버려야 할지 고민하는 주부들이 많습니다.

구매 후 바로 냉장보관을 했다면 유통기한이 이틀 정도 지났다고 해도 버릴 필요가 없습니다.

그렇다면 소비기한은 정확히 무엇일까요?

오늘은 식품의 유통기한과 소비기한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함께 읽으면 도움이 관련 정보

유통기한 소비기한 체크해야 하는 이유

장보는여자

상품의 유통기한과 소비기한과 품질유지기한을 체크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소비자들이 유통기한에 대한 오해로 인해 먹을 수 있는 음식이 쉽게 낭비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국내 전체 음식물의 1/7이 폐기물로 버려지고 있으며 더욱 그 양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 중 상당수가 유통기한을 이유로 버려지는 식품으로 추정됩니다.

유통기한이란?

소비자들은 ‘유통기한’ 하면 ‘식품의 안정성을 보장하는 기한’ 즉 섭취할 수 있는 기간이라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유통기한의 정확한 의미는 유통업체 입장에서 소비자에게 식품을 판매해도 되는 최종 기한을 말합니다.

보관상태와 제품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유통기한은 현재 모든 식품의 소비기한의 60~70%로 정합니다. 예를 들어 식품이 변질하지 않는 기간이 5일이라면 60~70%인 3일을 유통기한으로 정하는 것입니다.

소비기한이란?

‘소비기한’은 소비자가 식품을 먹어도 건강상 이상이 없을 것으로 판단되는 소비 최종기한을 말합니다.

소비기한이 유통기한보다 길어 보관 방법을 잘 지켰다면, 소비기한 내에 섭취가 가능합니다.

다시 말해 섭취할 수 있는 기한을 뜻하는 말은 유통기한이 아니라 소비기한 즉 식품을 섭취해도 되는 기간이라는 뜻입니다.

식품 종류에 따른 소비기한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유통기한이 만료된 식품이라도 0~5℃의 냉장 보관상태라면 우유는 최고 50일, 달걀은 약 25일, 식빵은 약 20일 정도까지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판매되는 우유의 유통기한이 평균 9~14일인 것을 개봉하지 않고 냉장고에 보관하면 최장 60일까지 소비기한이 늘어나는 것입니다.

식품 중 소금, 설탕 등을 비롯한 양념류와 통조림, 맥주 등 오래 두어도 변하지 않는 식품은 ‘품질유지기한’을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식약처 표시기준에 의하면 캔맥주와 페트병 맥주의 품질유지기한은 각각 12개월, 6개월입니다.

소비기한 체크 생활화

식품을 구매할 때나 폐기할 때는 유통기한이 아닌 소비기한을 살피는 습관을 들이면 좋은데 단, 소비기한의 경우 보관법을 잘 지켜야 합니다.

특히 여름철에는 소비기한이 남았다고 해도 음식이 변질하지 않았는지 꼭 살펴본 후 섭취하는게 좋습니다.

도움이 되는 정보

도로 주정차선 종류와 단속시간 알려드립니다!

도로 주정차! 알고만 있어도 과태료 안냅니다! 도로 주정차선! 꼭 지켜야 합니다. 그런데 아무데서나 주정차를 하게 되면 과태료 폭탄을 맞을...

올리브영 재고확인 방법 10초만에 가능 해요

올리브영 재고확인 방법   올리브영 재고확인 방법 어떻게 해야 할까요? 많은 사람들이 올리브영 물건을 많이 구매 합니다. 자주 가는 매장이나...

최근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