깡통전세 사기 미리 조심하세요!
깡통전세 사기 누구나 당할 수 있습니다.
부동산 가격이 떨어지고 고금리로 인해 다주택자들이 임대한 깡통전세사기 위험이 커지고 있습니다.
깡통전세란 전세가가 집 값보다 더 올라가 세입자가 보증금을 못 돌려받는 경우로 많은 피해자의 대부분이 서민입니다.
깡통전세사기는 수도권의 아파트보다 거래가 많지 않은 신축빌라나 지방의 아파트에서 피해 사례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내 전세금으로 지킬 수 있는 깡통전세사기 피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함께 읽으면 도움이 관련 정보 |
깡통전세 사기 급증
최근 깡통전세사기 피해가 급증하고 있는데 주로 서울 외곽지역이나 수도권의 빌라 등에서 자주 발생합니다.
빌라의 경우 아파트보다 투자가치가 높지 않아 매매보다는 전세를 선호해 전세가율이 높은 편입니다.
문제는 주로 사회 초년생이나 신혼부부들이 이러한 빌라 전세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데, 전세 거래 경험이 부족하기 때문에 적절한 매매가보다 높은 전세가, 즉 깡통전세로 빌라를 넘기는 자들로 인한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깡통전세는 거래가 없었던 신축빌라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이유는 건축주가 신축한 후 임차인을 모집하는 것처럼 하며 임차인 입장에서는 기존 거래 사례가 없어 적절한 매매가나 전세가를 산정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입니다.
깡통전세 사기 예방법
1. 전세계약 시 매매가의 80% 이하로만 계약!
전세의 경우 부동산 매매가의 80% 이하로 계약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전세계약을 하기에 앞서 해당 지역의 매물과 전세 물건과 비슷한 조건의 집을 찾아 시세를 많이 알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아무리 마음에 드는 물건이 있더라도 그 지역의 평균치를 알아보고 시세 80%이하를 기준으로 알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시세보다 높을경우 나중에 깡통전세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2. 계약 시 등기부등본 확인!
전세계약시 가장 기본이 되는 등기부등본 확인은 반드시 해야 합니다.
하지만 최근 깡통전세 사기가 상당히 지능적으로 바뀌면서 교묘히 세입자를 속이고 이미 출력되어 있는 다른 등기부등본을 출력하여 보여주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미 준비한 등기부등본 출력물의 경우 위조되어 있을 수도 있기 때문에 반드시 홈페이지에 공시된 내용만을 신뢰하여 계약해야 합니다.
등기부등본에서는 압류, 가압류, 근저당, 이 세가지 사항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3.반드시 주인과 직접 만나 계약!
집주인이 지방에 있거나 바빠서 부동산이 대신하여 계약해주는 일이 있습니다. 이럴경우 나중에 전세계약 관련 문제가 터졌을 때 책임 소재를 묻기 애매할 수 있습니다.
집주인이 바뻐서 직접 만나 계약을 못하는 경우 최소한 집주인과 영상 통화를 하고 이를 녹음이라도 해야 나중에 문제가 해결해 전세금을 지킬 수 있습니다.
4.이사당일 전입신고와 확정일자 받아두기
가급적 이사당일에 주민센터에 가서 직접 전입신고와 확정일자를 동시에 받는것이 좋습니다.
전입신고는 했지만 확정일자를 받지 못하는 경우 전세금 1~2억을 날릴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전입신고와 확정일자는 동시에 받아두시기를 바랍니다.
알고도 당하는 깡통전세 사기
깡통전세는 대학생이나 사회초년생뿐만 아니라 전세집을 찾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당할 수 있습니다. 특히 전세집 구하기가 힘들어지면서 깡통전세사기 매물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또한 허위매물을 미끼로 깡통전세를 슬쩍 소개해주는 수법으로 많은 깡통전세 피해자가 늘고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위의 네 가지를 꼭 확인하시고 계약하시기 바랍니다.
도움이 되는 정보 |